연구활동

Technology Management, Economics and Policy Program

[허은녕 교수님 연구실] Dynamics of Regionalization in Jet-Fuel Markets: Evidence From Global Shocks

2025-09-16l 조회수 110
 
1. 논문 홍보 자료 (연구 홍보 자료)

1.1. 제목: Dynamics of Regionalization in Jet-Fuel Markets: Evidence From

1.2 연구 개요
국제 4대 항공유 시장인 로테르담, 지중해, 걸프 코스트, 싱가포르 4개 시장에 대하여 글로벌 충격으로 분리한 구간별 항공유 시장의 지역화 현상에 대해 분석. 분석 결과, 구간별 항공유 시장의 지역화 현상은 2000년대 초기 장기적인 통합 구조에서 점차 지역적 분절로 이동함을 확인. 이를 통해 항공운송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대비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함.

1.3. 연구 배경
허은녕 교수의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경제연구센터 (https://enecon.snu.ac.kr/)는 에너지·자원·환경기술이 경영·경제학과 만나는 부분의 다양한 주제들을 분석하고 해결. 책을 연구하는 연구실로 에너지자원경제 (Energy and Resource Economics), 환경경제경영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그리고 기술산업경제. (Engineering Economics) 분야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에너지자원경제 분야에 속하며, 2000년대의 세계적인 시장 충격과 연계된 항공유 시장의 지역화, 통합화 구조 변화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국제 4대 원유 시장의 지역화, 통합화 분석은 다수의 선행연구가 연구하였으나, 정제품 시장의 지역화 분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정제품 중 지역적으로 큰 4개 시장을 가지고 있는 항공유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0년대 초반 항공유 가격은 장기적인 연동성을 보였으나, 최근 셰일 혁명,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규모 충격 이후 시장은 점차 지역화 (regionalization)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항공 운송과 에너지 안보에 직결되는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1.4. 연구의 내용 및 분석 결과
1.4.1. 데이터 및 방법론
분석 대상 : Jet Fuel 주요 네 시장 (Rotterdam, Mediterranean Europe, U.S. Gulf Coast, Singapore)
분석 기간 : 2001년 10월~2024년 8월, 월별 자료
구간 1 : 2001-2006, 구간 2 : 2007-2013, 구간 3 : 2014-2017, 구간 4 : 2019-2024
방법론 : 공적분 검정(Johansen, 1991), 인과관계 검정(Engle & Granger, 1987), VAR, VECM 모형 

1.4.2 주요 결과
글로벌 충격 이후, 시장 연계성 약화 및 지역화 심화.
미국 시장은 일시적 글로벌 허브 역할이었으나 이후 아시아, 유럽과 분리 경향 강화.
COVID-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연계성 붕괴 가속화, 유럽 시장 간의 단기 관계만 존재 정책적으로, 항공화물 의존도가 높은 한국 같은 경우, 이에 대한 대비 전략이 필요.

1.4.3 기대효과
기존 연구들이 단일 구간 분석에 그친 반면, 본 연구는 구간별로 시장 변화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기여를 가진다. 국제 원유 시장이 아닌 정제품 시장으로의 분석 확장 및 주요 거래 시장이 존재하는 항공유의 시장에 대해 지역화 분석을 한 첫 시도 중 하나의 연구이다. 정책적 함의를 다룰 수 있고, 향후 연구에서는 time-varying 모형과 OPEC+ 감산 등의 정책의 영향을 추가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1.5. 논문 정보
Mingi Jung¹, Eunnyeong Heo², Soohyeon Kim³, Hansol Julian Yoon¹ (2025)
Dynamics of Regionalization in Jet-Fuel Markets: Evidence From Global Shocks
Poster presented at the 46th IAEE International Conference, Paris, 2025 

2. 연구실 뉴스/졸업생 동정
조상민 박사 한국공학대학교 교수 임용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던 조상민 박사가 2025년 2월에 한국공학대학교 융합기술에너지대학원의 교수로 임용되었음. 

3. 연구실 기고/저서/행사
[EE칼럼] 에너지 전환의 시대, 한국은 어느 길 위에 서 있는가 (2025.07.06.)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901029474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