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및 이벤트

Technology Management, Economics and Policy Program

기술경영경제정책 대학원 졸업생 멘토링 세미나 -  여영준 박사

2020-03-16l 조회수 3251



Q. 간략한 자기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A. 저는 2019년 2월에 이정동 교수님 연구실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국회 미래연구원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인 여영준입니다.



Q. 어떤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시나요?

A. 저는 “Essays on Innovation, Human Capital, and Economic Growth in a Knowledge-based Economy: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ing for Innovation Policy Assessment” 논문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산업 및 혁신정책, 인적자원, 정책효과 분석, 거시경제 모델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Q. 간략하게 근무하고 계신 기관에 대해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A. 국회 미래연구원은 미래 환경의 변화를 예측 분석하고, 국가 중장기 발전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국회의 정책역량 강화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입니다. 그리고 국회미래연구원은 2017년 제정된 ‘국회미래연구원법’에 근거하여, 2018년 국회 내 첫번째로 설립된 출연연구기관입니다.


Q. 국회미래연구원에는 어떠한 연구를 수행하나요

A. 국회미래연구원은 현안 위주 파편화된 연구를 진행하는 타 정부출연기관들과는 달리,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변화를 중장기적으로 준비하고, 융합적인 틀 하에서 국가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회의 정책역량강화, 미래지향성 강화, 행정부 경제기능 강화, 연구기관 간 네트워킹 강화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장기적인 시야와 중립적 시야를 확보한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주요 연구사업으로는 미래예측 연구, 미래선호 연구, 장기 국가전략 연구, 국제전략 연구, 미래영향 평가 연구, 네트워크 기반 연구 등이 있습니다. 또 주요 연구분야는 통일, 외교, 국방 및 국제전략, 국가 신성장동력, 지속가능한 성장,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입니다. 이러한 국회미래연구원의 연구들은 국회 의정활동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정책 중심 국회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Q. 국회미래연구원의 장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국회미래연구원은 설립된 지 2년째인 초기 기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진 간 수평적 구조와 다양한 분야 간 융합을 지향하는 연구기관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연구진들의 전공을 살펴보면 경제학, 기술경제학, 전지전자공학, 정치학, 국제정치학, 지리학, 법학, 생물공학, 정책학, 공중보건학, 행정학, 교육학, 사회학, 환경공학, 미래학 등 다양한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적 구성을 가진 연구진들 간 의사결정 과정 내 활발한 논의와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이러한 칸막이식 파편화된 연구가 아닌 융합 중심의 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이 국회미래연구원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치적 중립성은 저희 기관이 지켜야 할 중요한 장점이자 기준인데, 국회미래연구원은 여야 동수 추천으로 이사회를 구성하게 되어 있으며, 주요 연구 주제와 결과는 국회운영위원회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국회미래연구원에서 수행하는 미래전략 연구는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받고 있으며, 진리와 국익을 위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율성이 보장됩니다. 이것이 저희 기관의 또 다른 장점이고, 더불어 기관이 국회 내 존재하기 때문에 의원실, 정당 내 기구, 정부부처, 이익단체, NGO, 타 연구기관, 대학() 등 국내외 다양한 주체 및 연구기관들과의 네트워킹에 매우 장점을 가집니다.

Q. 국회미래연구원에 가기 위해서 함양해야 할 포인트가 있을까요?

A. 흠… 보통 대학원 과정에서 수행하는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국회미래연구원에 재직하며 연구활동을 수행하면서 실제로 느낀 바로는, 정책 연구라고 한다면, 정책이 설계되는 법제화 및 제도화 단계, 그리고 거버넌스 체계에 대한 고민까지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혁신 및 산업 정책 연구를 대학원 과정 동안 진행하더라고, 보다 폭 넓은 사고로 실제 정책들이 입안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을 하며 정책이 만들어지기 위한 주요 주체들 간 합의 과정, 법, 제도화 과정, 그리고 정책의 전달 과정에 대한 시스템적 사고를 함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 그리고 정 반대의 생각과 관점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논리적인 설득을 할 수 있는 역량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